2019/08 4

Differential privacy - 차등 개인정보 보호

의학 연구에 있어서, 샘플의 정보는 환자 개인의 고유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자발적 동의 없이 데이터를 유통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분석가치가 높은 데이터일수록, 혹은 Sample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정보의 민감성은 증가한다. 따라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선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단계는 필수적이다. 1. Definition of Attributes in Data Privacy 1) Identifiers: 식별자 (혹은 Key) 흔히 Database에서, entity (개체)를 구분할 수 있는 변수를 Key라고 부른다. 식별자는 의료데이터에서 각 샘플들을 독립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변수기 때문에, 필히 민감정보가 된다. 예를 들어 주민번호, 전화번호, 환자등록번호, 계좌번호, 영상의학이미지..

Deep Attention-Sampling Models: 큰 이미지의 End-to-end 학습

Processing Megapixel Images with Deep Attention-Sampling Models https://arxiv.org/pdf/1905.03711.pdf 불러오는 중입니다... (참고 자료) https://icml.cc/media/Slides/icml/2019/halla(11-11-00)-11-11-25-4512-processing_mega.pdf Image-net에서 pretrained 되는 대표적인 CNN 모델들 (VGG, ResNet, DenseNet 등.. ) 은 기본적으로 224*224 사이즈를 가진다. 그런데 448*448 로만 늘려도 필요한 메모리가 어마어마해진다. 따라서 매우 큰 이미지를 학습할 때, 사이즈를 down-sampling 하거나, 아니면 patch를 ..

근저당권과 저당권 차이 부동산경매

'저당'이란 부동산 등을 담보로 하여 돈을 빌려주는 것을 뜻한다. '저당권'은 채무자가 빚을 갚지 않는 경우에 채권자가 경매 등의 절차를 통해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하지만, 저당권은 은행에서 대출을 또 받아야 한다면 새로 저당권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 즉, 은행에서 돈을 빌린 후, 돈을 갚으면 채권액이 줄어들지만 반대로 이자가 밀려 채권액이 더 늘어날 수 있다. 채권액이 변동될 때마다 저당권 설정과 등기를 다시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저당권보다 '근저당권'을 설정한다. '근저당권'은 '채권최고액' 설정을 통해, 채권액이 변동될 것을 예상하여 장래에 생길 채권에 대한 저당권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채권액 변경에 의한 저당권설정/등기 를 채권최고액 내에서..

부동산경매 절차 간단정리

1. 법원의 경매개시 결정 채권자 (빚을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가 경매를 신청하면, 법원은 검토 후 '경매개시결정' 을 내린다. 감정평가사는 경매를 통해 매각 될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한다. 2. 배당요구 종기 결정 및 신청 채권자는 '경매 매각 대금'을 통해 '배당'을 받게 된다. 배당을 받기 위해, 채권자는 법원이 정한 배당요구 종기일까지 필요 서류를 첨부하여 배당 요구 신청을 한다. 3. 매각기일 매각 기일은 입찰하는 날을 의미한다. 부동산이 위치한 해당 지방 법원에서 매각을 실시한다. 입찰서와 보증금을 제출해야 한다. '개찰'은 입찰자들 중 최고가를 입찰한 사람이 낙찰자(최고가매수신고인)가 된다. 4. 매각허가결정 및 확정 '매각허가결정'은 낙찰일로부터 7일 후에 내려진다. 최고가매수신고인의 결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