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jor Study./Bioinformatics

EMT - 상피간엽이행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sosal 2016. 8. 5. 20:30
반응형

/*

 http://sosal.kr/
 * made by so_Sal
 */

 

 

전이(Metastasis)의 위키피디아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전이 - Metastasis

 

암세포 따위가 옮겨다니는 일이다. 전이 능력이 없는 종양을 양성 종양이라고 하여 전이 능력의 존재 여부는 암과 양성 종양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9D%B4_(%EC%9D%98%ED%95%99)

 

 

 

primary tumor은 실제로 암이 발생한 위치의 종양을 말한다. 사전상으로 한국어로 '원발성 종양' 로 불리는 것 같다.

암에 의한 죽음은 대부분 Primary tumor보다 metastasis가 사망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약 90%)

 

전이는 Primary tumor에서 떨어져 나와, 순환계와 림프계로 들어간 후 면역공격을 회피하고 모세혈관에서 빠져나가면 결국 이차적인 장기로 침투하여 증식하게 된다.

 

Schroeder, Avi, et al. "Treating metastatic cancer with nanotechnology." Nature Reviews Cancer 12.1 (2012): 39-50.

 

 

 

 

 

EMT - 상피간엽이행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EMT는 은 상피줄기세포 혹은 분화된 상피세포들이 somatic mutation을 축적하면서 간엽세포의 특성을 지닌 종양세포로 변형된다는 '이론' 이다.

 

 

각 암세포들이 Mesenchymal (간엽세포)의 특성을 가지게 되어 Primary tumor에서 벗어나 혈관으로 벗어나는 것을 기반으로 암의 전이를 설명한다.

 

Microarray, Sequencing 등의 다양한 메소드를 이용하여 Human gene - EMT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있다.

 

dbEMT 라는 데이터베이스는 EMT와 관련된 유전자들을 제공한다. http://dbemt.bioinfo-minzhao.org/ 

Zhao, Min, et al. "dbEMT: an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associated gene resource." Scientific reports 5 (2015).

 

데이터를 받아보면 EMT와 관련된 유전자는 377개가 있다.

 

목록은 다음과 같다.

 

 

EMT related genes from dbEMT

CDH2

ZBTB33

HDAC6

CD24

DNAJB6

OCLN

MET

MGAT3

MMP2

CDH13

CDKN1B

CDKN2A

NDRG1

YAP1

CDX2

MMP13

MMP14

MSN

TAB1

FBLN5

TXNIP

PDPN

POSTN

LEFTY1

MUC2

MUC4

MYC

KHDRBS1

HPSE

PKP3

KLF8

TWIST2

CLU

NFIC

NFKB1

NOTCH1

COL8A1

COL8A2

KLF6

CLDN4

PARP1

MAPK14

DDR2

PRDX1

PAK1

CSK

CSNK2B

VCAN

CTBP1

CTGF

CTNNB1

LEF1

PDE4A

LIMA1

CTNND1

GLIPR2

CMTM8

CTSZ

CUX1

DAB2

PLAUR

POU5F1

PPARG

DAPK1

DDX5

DLX4

AGER

JAG1

HBEGF

SEMA4C

MIR429

PRKCA

ECT2

EDN1

EDNRA

EGF

EGFR

EGR1

PAG1

ERBB2IP

MAPK1

ELF5

ENG

EPAS1

EPO

ERBB2

AKT1

MAP2K1

PARD3

PRSS8

ERF

ESR1

ETV4

EZH2

VWCE

FGF1

CTNNBIP1

TBX20

CAMK1D

FGF2

FGFR1

FGFR2

FHL2

PHLDA1

SNW1

PTK2

MKL2

MTA3

FOXC1

FOXM1

PLXND1

FLT1

BOP1

FN1

PTPN14

PTPRZ1

CXCL16

NCSTN

SCRIB

MTOR

FSCN2

SLC39A6

LETMD1

RDX

BCL2L1

RGS3

WWTR1

GATA3

GREM1

AMHR2

LYPD3

GLRX

SDC1

SDC2

CXCL12

LAMA1

C13orf15

ANPEP

GRIN1

CD274

GSK3A

SIM2

SIX1

BMP2

GSK3B

GSN

ANXA1

HAS2

HDGF

HGF

SNAI1

FSCN1

SON

HIF1A

HMGB1

HMGB3

HMOX1

FOXA1

HNF4A

SPRR2A

SRC

SRF

HOXA10

HOXB7

HOXB9

HPGD

HRAS

BIRC2

STAT5A

STAT5B

AURKA

HSPA4

HSPB1

HSPB2

HSP90AA1

TNC

ID1

TBX2

TCF4

TBX3

ID2

IDH1

IDH2

IGF1R

IGFBP3

CYR61

TCF21

TDGF1

TEAD1

IL1B

IL6R

IL18

ILK

ITGA6

AR

TGFB1I1

TGFB2

TGFB3

ITGA5

ITGB1

ITGB3

ITGB4

JAG2

JAK2

THBD

TIAM1

TIMP1

KCNH1

KIT

KRAS

RHOA

KRT19

L1CAM

TRPS1

TWIST1

VDR

LAMA5

LCN2

LEP

LIMS1

LOX

LOXL2

VSNL1

VTN

WNT1

LRP6

MIR124-1

MIR137

MIR149

MIR15B

MIR193A

YY1

YWHAZ

ZNF217

MIR194-1

MIR200A

MIR200B

MIR200C

MIR205

MIR21

ELL3

FOSL1

HMGA2

MIR221

MIR222

MIR23A

MIR30A

MIR33A

MIR34A

SEMA7A

GEMIN2

CAV1

MIR34C

MIR9-1

EPCAM

SMAD2

SMAD3

SMAD4

EIF3I

CBR1

NRP2

SMAD7

SMAD9

MCAM

MDK

MAP3K3

MAP3K4

WNT3A

ACVR1

HS6ST2

NOTCH2

YBX1

ROR2

MMP3

MMP7

MMP9

LATS1

MARVELD3

MTDH

PAX2

GMNN

PCMT1

MST1R

MSX2

MUC1

ZFYVE9

MUC16

FOXQ1

PDGFB

PIK3CA

PIN1

MYCN

ATM

NF1

SEMA3E

ZEB2

GAB2

RNF111

GIPC2

ESRP1

SFTPC

SHH

BMI1

TNF

TP53

TP73

AXL

PRKCE

KDM3A

BMP4

BMP7

SNAI2

VEGFA

EZR

VIM

MAPK3

MAPK7

MAPK8

SOX9

SP1

SPP1

WNT5A

WNT6

WT1

KLK6

EIF5A2

TMPRSS4

BRAF

ST14

STAT3

ZYX

CXCR4

ESRP2

PTEN

PTGS2

PTHLH

STK11

ADAM17

MAP3K7

AXIN1

AXIN2

LOXL3

MKL1

PTN

EPB41L5

TCF3

TCF7

ZEB1

TP63

RUNX3

NUMB

RAC1

RAF1

BCL2

TFCP2

TGFA

TGFB1

WISP3

WISP2

PROM1

ROCK1

S100A4

CXCL5

TGFBR1

TGFBR3

TGM2

TM4SF5

CLDN1

MTA1

NOG

KLF4

KL

ROCK2

MAGED1

CD44

HS3ST3B1

CDH1

  

dbEMT 데이터베이스에서 알려주고 있는 377가지의 EMT 관련 gene 이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literature들을 모아 정리한 결과이며, 각 유전자들과 EMT의 연관성에 관한 자세한 논문은 dbEMT 데이터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EMT를 지지하는 논문으로는 대표적으로 2010년도에 Nature에 실린 논문이 있다.

Carro, Maria Stella, et al. "The transcriptional network for mesenchymal transformation of brain tumours." Nature 463.7279 (2010): 318-325.

 

이 포스팅을 쓰는 시점으로 600회가 인용된 유명한 논문이다.

 

두 유전자의 이소성 동시발현(ectopic coexpression)이 신경아교종의 EMT를 촉진시킨다는 결론을 가지고 있는 논문이다.

 

 

 

 

 

EMT 이론은 논란이 많다. 병리학 검사에서는 EMT가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 Tarin, David. "Cell and tissue interactions in carcinogenesis and metastasis and their clinical significance." Seminars in cancer biology. Vol. 21. No. 2. Academic Press, 2011.

- Hart, Ian R. "New evidence for tumour embolism as a mode of metastasis." The Journal of pathology 219.3 (2009)

- Garber, Ken.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is important to metastasis, but questions remain."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00.4 (2008)

 

 

EMT가 발생한 이후, 간엽상피세포의 능력을 가진 cancer cell이 순환계와 림프계에 들어간 후 면역공격을 회피하여 모세혈관에 빠져나가는 것에 성공한 후, 다른 이차적인 조직에 붙어 secondary tumor가 되기 위해서는 다시 상피세포의 특성으로 변해야 한다. 이를 MET (Mesenchymal-epithelial transition)이라고 한다.

 

단순히 MET를 EMT의 반대 과정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somatic mutation에 의해 간엽세포의 성질을 갖게된 cancer cell이 어떻게 다시 epithelial 세포의 특성을 갖게 되는지에 대해 제대로 된 설명을 가진 논문은 없다.

 

따라서 EMT/MET 가설은 아직 미흡한 이론이다.

 

 

 

 

 

- 본 글은 Cancer as a Metabolic Disease를 기반으로, 다른 정보들과 엮어서 재구성한 글입니다.